보건복지부에서 2024년도 긴급복지 생계 지원금을 대폭 인상하였습니다.
지난해 12월 6일 발표 후 올해 1월 1일부터 시행되어 생계지원을 받는 대상과 생계지원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보건복지부 긴급 복지 생계 지원제도
지원제도의 의미
실직, 폐업, 질병, 부상, 화재, 자연재해 등으로 갑자기 소득을 상실한 경우 누구나 막막하고 어려울 것입니다. 보건복지부에서는 생계에 어려움이 발생한 저소득층 분들을 위해 긴급하게 지원을 하기 위해 "긴급복지생계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전부터 있던 제도로 해마다 지원폭에 변경이 있습니다.
2024년에는 지원금을 상향해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지원요청
지원요청은 보건복지상담센터(유선 129) 및 관할 시군구(읍면동)에 하시면 됩니다.
본인이 아니더라도 긴급지원대상자를 발견한 사람도 누구나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고 하니 주분에 어려운 분이 계시면 대신 신고해 주세요.
지원 기준과 지원 대상
금융자산 기준 금액(원)
지원을 받을 대상은 저소득층으로 금융자산을 기준으로 합니다.
24년 이전에는 금융재산을 고시와 지침으로 구분하여 고시 6백만원에 생활준비금(지침)이 합산되었는데,
24년부터는 고시로 통일하여 가구 구성원 수에 따라 금융자 기준이 상향 변경되었습니다.
아래 표를 참고해주세요.
구성원수 | 2024년 고시 |
1인 | 8,2228,000 |
2인 | 9,682,000 |
3인 | 10,714,000 |
4인 | 11,729,000 |
5인 | 12,695,000 |
6인 | 13,618,000 |
지원대상
갑작스러운 위기를 당해 생계가 곤란한 경우에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갑작스런 "위기사유"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 우리 집의 가장 또는 생계를 책임지는 주소득자의 사망, 가출, 행불, 구금 등으로 소득을 상실한 경우
- 우리집의 주소득자 또는 부소득자의 휴업, 폐업, 실직으로 소득이 더 이상 없는 경우
- 중대한 질병 또는 부상을 당한 경우
- 가족으로부터 방치되거나 버려지고, 학대를 당한 경우, 이로 인해 노숙하는 경우
- 가정폭력을 당하거나 가족 구성원으로부터 성폭력을 당한 경우
- 집에 불이 나거나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거주지에 더 이상 거주할 수 없는 경우
- 보건복지부령에 따라 지방자체단체 조례로 정한 사유가 발생한 경우
- 주소득자와의 이혼 후 생계가 어려운 경우
- 한전에서 전기를 끊은(단전) 경우
- 교정시설 출소 후 생계 곤란한 경우
- 자살 고위험군으로 발굴된 경
생계 지원금 및 추가 지원금
생계 지원 금액(월/원)
가구 구성원수에 따라 매월 지급되는 금액이 다릅니다.
아래 표를 참고해 주세요.
구성원수 | 2024년 | 2023년 |
1인 | 713,100 | 623,300 |
2인 | 1,178,400 | 1,036,800 |
3인 | 1,508,600 | 1,330,400 |
4인 | 1,833500 | 1,620,200 |
5인 | 2,142,600 | 1,899,200 |
6인 | 2,437,800 | 2,168,300 |
※ 구성원 7인 이상인 경우에는 1인마다 286,900원 추가 지급
추가 지원 금액(월/원)
연료비, 해산비, 장제비, 전기요금도 추가 지원된다고 합니다. 상세한 금액은 아래 표를 참고해 주세요.
- 연료비: 난방비가 갑자기 올라 동절기인 23년 10월부터 24년 3월까지 지원(약 4만 원이 인상)
- 해산비: 출산 시 필요한 자금을 의미하며, 출산일에 따라 미리 신청하여 지원
- 장제비: 갑작스러운 부모님 임종 등 장례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
→ 다른 법률에 의해 장제비를 지원받은 경우 그 금액을 차감하여 지 - 전기요금: 전기요금을 납부하지 못했을 때 지원
추가 지원 | 2024년 | 2023년 |
연료비 | 150,000 | 110,000 |
해산비 | 700,000 | 700,000 |
장제비 | 800,000 | 800,000 |
전기요금 | 500,000이내 | 500,000이내 |
※ 구성원 7인 이상인 경우에는 1인마다 286,900원 추가 지급
지원이 취소되는 경우 해당 기간 동안 과소납(적게 냄)으로 처리되므로 추후 연금보험료를 추가로 납부해야 가입기간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맺음말
살다 보면 많은 어려움들이 내 앞을 막아서기도 합니다.
이럴 때 일 수록 포기하지 말고 공적 제도를 활용해 어려움을 이겨내셨으면 좋겠습니다.
모두 힘내세요!
긴 포스팅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꾸욱 부탁드려요~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지역가입자 납부예외 재개 시 최대 4.5만원 지원 (0) | 2024.01.10 |
---|---|
LG 노트북 지문인식 로그인 설정 방법 (0) | 2023.04.25 |
숙박비/휴가비 지원 받고 여행 가기(f.기획재정부 내수 활성화 정책) (0) | 2023.03.30 |
팩스 없이 팩스를 받는다. 팩스를 보낸다. 무료 모바일 팩스! (0) | 2023.03.08 |
경유차 조기폐차 조건 및 최대 보조금(LPG 화물차 구입 시 추가 보조금) (0) | 2023.03.07 |